iOS Ellen

[Network] Network, throughput, Latency, Packet 본문

CS/Network

[Network] Network, throughput, Latency, Packet

Ellen61 2022. 5. 10. 12:54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했습니다.
오개념이 있을 수 있으며 피드백은 적극 수용하겠습니다.
🔥🔥🔥 오늘도 우리 개발 인생 파이팅 🔥🔥🔥

Network

Net이란 그물을 뜻한다. 이름처럼 여러 노드와 데이터 링크들이 서로 연결되있는 것을 말한다.

Node

노드(Node)는 재분배 지점 또는 통신 종단점이다.
일반적으로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한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고
위키백과에서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 A에 컴퓨터 20대, 허브 2개, 공유기 2개, 라우터가 있다면
로컬 영역 네트워크 A에 속한 장비들을 하나의 노드라고 설명하고있다.
(출처: 위키백과)

 

Data Link

통신에서 일반적인 개념으로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할 목적을 위한 도구이다. (출처: 위키백과)
유, 무선을 통한 데이터 전달 모두 데이터 링크이다.

 

Data Link 구성에는 보통 세 종류가 있다.
보통 양방향으로 구성하는 것이 간편할 수 있지만 전송로를 아끼기위해 여러 종류의 전송 방식이 쓰인다.
불필요한 전송로는 없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Simplex(단방향 통신):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방송, 감시 카메라를 들 수 있다.
  • Half Duplex(반이중 통신): 한 쪽이 송신하는 동안 다른 쪽에서 수신하는 통신 방식으로, 전송 방향을 교체한다. 마스터 슬레이브 방식의 센서 네트워크가 대표적이다.
  • Full Duplex(전이중통신): 두 대의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동시에 각각 독립된 회선을 사용. 전화망, 고속 데이터 통신 등

(출처: 위키백과)

 

 

Throughput과 Latency

Throughput

스루풋 또는 처리율은 통신에서 네트워크 상의 어떤 노드나 터미널로부터 또 다른 터미널로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디지털 데이터 전송으로 처리하는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링크에서는 스루풋 단위로 초당 비트 수(bit/s 또는 bps: bits per second)가 주로 사용된다.
즉,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을 일컫는다.
System throughput 또는 Aggregate throughput은 네트워크 안의 모든 터미널에 전달되는 데이터 속도의 총합이다.
스루풋은 디지털 대역 소비량(대역폭)과 동의어이다.

(출처: 위키백과)

Note: 내가 잘 이해하지 못하는것 일수도 있지만,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에서는 Throughput을 처리율이 아닌 처리량으로 표현하고있고 대역폭과 스루풋을 다른 개념인 것 처럼 설명하고있다.
내 결론은 Throughput == 처리량 == 처리율 이라고 생각한다.

 

Latency

latency(지연 시간)이란 자극과 반응 사이의 시간이라고 설명되어있다. (출처: 위키백과)
예를들면 어떤 요청이 발생하고 그 요청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네트워크상에만 국한되지 않고 요청이 발생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는 모든 것에 레이턴시가 발생한다.

 

Packet

패킷이란 Package + Bucket의 합성어이다.
이 글을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링크 바로가기)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형식화된 블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마치 소포나 우편물처럼 수신지에 관한 정보와 화물(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헤더가 주로 패킷의 수신지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있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네트워크 분류  (0) 2022.05.12
[Network] Network topology  (2) 2022.05.12
[Network] Bottleneck, Spoofing  (0) 2022.05.12